치경부 마모증, 충치, 치근단 염증 여러 치아 문제가 동시에 있을때, 어떤 순서로 치료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바라봄교정치과 의사 강병민입니다.
치과에 오시는 분들 중에는
여러 문제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구강 위생 관리가 어려웠던 시기를 거치면서
치주질환, 충치, 치아 파절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전반적인 구강 건강 문제를 단계적으로
해결해나간 복합진료 사례를 통해
어떤 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러한 경우 우선순위를 정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며,
경제적 상황도 함께 고려한
현실적인 치료 계획이 필요한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이 동시에 나타났을 때
해결하는 방법을 예시 사진을 보며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검진 및 진단
구강 내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구강 내 모습을 보았을 때
치아 전반에 걸쳐
치경부 병소(치아 목 부분의 손상)가 관찰됩니다.


치경부 병소는
잇몸 퇴축, 과도한 교합 힘, 잘못된 칫솔질 습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이 부분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계속 진행될 수 있습니다.


교합면 모습을 보면
자연치 곳곳에 충치가 진행되어 있으며,
두번째 큰 어금니에 있는 치아들이
대부분 파절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중 왼쪽 위 첫번째 작은 어금니(24번)는
치경부 마모증과 더불어,
심한 변색이 진행되었는데요.

엑스레이를 확인해 보았을 때
24번에 치근단 병소가 존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강 내 모습을 보았을 때
전반적인 치경부 병소가 있고
치주질환이 진행되어 보입니다.
이러한 경우,
전반적인 치주상태 평가를 위해
bite wing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데요.

bite wing 촬영본을 보면
양측 구치부 모두에서 치석이 많이 쌓여 있습니다.
특히 잇몸 아래 치석이 쌓여
있는 것을 엑스레이 선에서 볼 수 있는데요.
초기 치석은 사실 엑스레이 선에서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
방사선 촬영 시 이것이 보였다면
다량으로 쌓여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세부 계획
이렇게 여러 문제가 동시에 있을 때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것은
어떤 순서로 치료를 진행해야 되는가인데요.
먼저 염증 조절을 위한 치주치료(스케일링 및 잇몸치료)를
우선적으로 진행하면서 동시에
각 치아별 치료를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치료 계획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적인 치주치료와 함께 치경부 병소 CA 수복
염증 조절을 위한
치주치료(스케일링 및 잇몸치료)를
우선적으로 진행하면서
치경부 마모증을 레진으로 수복하면서
심미성과 추가적인 마모를 방지합니다.
✔ 24번과 47번은 신경치료 후 크라운 치료
왜 단순히 충치치료로 해결되지 않나?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치근단 병소가 있다는 것은
치수까지 염증이 진행되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신경치료와 크라운을 통해
세균을 정리하고 크라운을 수복하여
구조적 보강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15번, 27번은 크라운 수복, 16번은 인접면을 레진으로 수복
레진 수복과 크라운은 다른 것인가요?
라는 문의를 주십니다.
레진은
비교적 작은 범위의 손상을 수복하는 방법이고,
크라운은 자연치 전체를 덮어
구조적 강도를 회복시키는 방법입니다.
치아 사이 충치는 발견이 늦어지고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같이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17번의 경우에도 크라운 치료가 이상적이지만,
경제적 부담을 고려하여
레진 수복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치료를 받는 의료기관과 충분한 상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치료 과정


먼저,
24번 치아의 신경치료를 시작합니다.
감염된 치질과 치수를 정리하고
그 공간을 말끔히 정리하고
정리한 것을 다시 한번 체크한 뒤
그 공간을 충전합니다.
이러한 치료를 하는 동시에
좌측 구치부 큐렛을 통해 치석제거를 진행합니다.
“큐렛 치료는 스케일링과 뭐가 다른가요?”라고 자주 묻는데,
큐렛은 잇몸 아래 깊숙이 있는 치석과
염증 조직을 제거하는 치료입니다^^

치석제거 전후를 비교해보면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치석이 완전히 제거되고
잇몸의 붓기와 염증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죠.


그 다음은 15번 크라운을 진행하며
남아있는 충치를 제거하고
16번 근심면 레진 수복을 동시에 진행합니다.


47번 치아도 동일하게
신경치료를 진행하고 크라운 수복을 합니다.

전체 치료 기간에 걸쳐 필요한
치경부 병소들을 레진 수복을 통해
깨끗하게 치료 되었습니다.




심한 충치를 심미적으로도 깔끔하게 회복하여
자연스러운 치아 색상과 형태를 재현되었습니다.
치주치료를 통해 많았던
치은연상 및 치은연하 치석들을 완전히 제거해
잇몸 건강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파절이 심하거나 신경치료가 필요했던 치아들은
크라운 수복을 통해 기능을 완전히 회복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내용은
복합적인 구강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드렸습니다.
여러 문제가 동시에 있을 때는 우선순위를 정하여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며,
개인의 상황에 맞는 현실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좋다는 점을 알려드리면서 글을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바라봄 원장 강병민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