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스마일 개선 과정, 수택동 치과 임플란트 교정 병행 케이스
안녕하세요, 수택동 치과 의사 강병민입니다.
오늘 소개해볼 내용은
[거미스마일]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웃을 때, 잇몸이 과도하게 드러나는
케이스를 일컫는 말로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는 분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가수 이효리를 꼽아볼 수 있습니다.
살짝 입가에 미소를 띠고 있을 때는
잘 티가 안나지만,
활짝 크게 웃을 때 잇몸이 과하게 드러나
심미를 저하시는 요소가 되곤 하죠.
거미스마일이 심하게
인식하고 계시는 분은 대부분
“아, 잇몸이 또 심하게 보이면 어쩌지?”
라는 생각 때문에
남들 앞에서 활짝 웃는 것을 꺼려하십니다.
자신감 결여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에
윗입술을 올리는 근육에
보톡스를 놓는 방법을 택하는 분도 많죠.
그런데 보톡스만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개선하긴 어렵기에
치아 교정을 통하여 거미스마일 양상을
어느 정도 바로 잡을 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를 수택동 치과 에서
예시 자료를 보며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1. 구내 및 파노라마 사진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웃을 때 잇몸이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측면에서는
오른쪽 아래 어금니는 오래전에 결손되고
왼쪽 아래 어금니는 잔존치근으로 인해
대합되는 16번과 26번이 정출되어 있습니다.
특히 오른쪽 아래의 경우
결손된지 오래되어
후방 인접치가 빈곳으로 기울어지면서
치열이 틀어져 있습니다.
더불어, 아래 전치부에 공간들이 있으며
위턱 절치의 설측 경사가 되면서 정출되어

잇몸선이 주위에 비해 많이 내려가 있어
위턱 절치가 내려가 있어
웃을 때 잇몸이 많이 보일 수 밖에 없는 형태입니다.
더불어, 윗니가 아랫니를
과하게 덮고 있는 딮 바이트(과개교합) 형태입니다.
아래턱(하악) 정중선이
우측으로 편위되어 있고,

하악 교합평면이 기울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보았을 때,
위턱이 약간 과성장된 골격성 2급 부정교합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수택동 치과 에서 교정진단 결과,
상악이 약간 과성장된 골격성 2급
부정교합으로 판단됩니다.
거미스마일을 개선하기 위해
상악 앞니를 입술쪽으로 경사 시키며 압하하고,
2급 부정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상악 8번 발치를 동반하여
위턱 전체치열 후방이동을 계획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정출된 #16, #26을 압하합니다.
더불어, 하악에서는 8번을 발치하고,
#7번을 직립 한후 #6번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계획이 필요하며,
또한 교합평면의 기울기를 맞추기 위해
왼쪽편을 압하하는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2. 과정

교정 브라켓을 부착하고,
미니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상악 견치를 잡아줌으로써
배열과 레벨링이 될 때에
위턱 절치부가
견치의 높이에 맞추어 압하되면서
배열되도록 합니다.

아래턱에서는 왼쪽 아래 작은 어금니들 사이에
미니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좌측 편을 압하함으로서
하악 교합평면의 캔팅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턱 사랑니와 #36 루트레스트를 발치하고
좌우 두번째 큰 어금니를 직립하여
첫번째 어금니의 임플란트가
식립될 공간을 마련합니다.

또한, 미니스크류를 활용하여
정출된 위턱 어금니를 압하함으로써
아래 임플란트 보철물이
정상적인 고경을 갖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요.
임플란트 식립 공간이 마련되면
3D-CT를 통해 가용골의 상태를 파악한 뒤
뼈의 골과 질이 충분한 위치와 기울기로
#36, #46 픽스처를 식립하고,






교정치료 마무리시 크라운을 올리며
교정치료를 종료할 수 있습니다.
하악 교합평면을 바르게 맞춤과 동시에
구치부의 토크를 조절해 줌에 따라
하악골의 위치가 재 설정되어
미드라인을 맞추어줄 수 있습니다.
기울어져 있던 어금니의 직립과 함께 임플란트 크라운으로써
알맞은 크라운의 크기를 맞추어야 되며
이 케이스의 경우 정상적인 크기보다 작아야 되기에
공간 조절이 중요한 케이스입니다.
3. 종결

진료 후 치축이 올곧게 만드니
절단연 높이가 맞지 않아

enameloplasty(법랑질 성형술)를 통해
심미적인 전치부가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상악 절치부가 정출되며
거미스마일을 동반한 과개교합에서,
상악 절치의 각도를 정상화함과 동시에 압하하는 과정을 통해
거미스마일을 개선할 수 있는데요.

완료 후 안모 사진을 보면
웃을 때 많이 보이던 잇몸이 개선된 것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정은 단순히 배열만 고르게 하는 게 아닌,
전반적인 구강 구조를 파악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결과를 만드는 과정이라는 점을 알려드리면서
글을 마치겠습니다.
수택동 치과 의사 강병민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