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차 검게 변색 되는 앞니 : 수택동 치과 실활치 미백 과정으로 되살리기.
치아의 변색의 원인은
크게 내인성과 외인성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커피나 카레 같은 음식 속
색소로 인하여
이가 검차 누렇고 검게
착색되는 것을
외인성이라 할 수 있으며,
치아 내부의 요소로 인하여
검게 변색되는 것을
내인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수택동 치과 에서는
내인성 착색에 관련된 내용을
전달해 보려 합니다.
신경치료를 받은 적이 있거나
넘어짐, 교통사고 같은 외상으로 인하여
큰 충격이 가해진 경험이 있는 분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인데요.

수택동 치과 사진과 같이
멍이 든 것처럼 검게 변색됩니다.
” 그 원인은 혈액 속 성분에 있답니다. “
신경치료 혹은 외상을 받은 곳
주변에 있는 혈관들은
생활력을 잃고 괴사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적혈구의
영양 성분 중 하나인 황화철이
앞니 구조 속으로 스며들면서
점치 본연의 색을 잃고
검게 변하게 되는 것이죠.

수택동 치과 에서 준비한 케이스의
Panorama 사진을 보시면,
변색된 앞니는 일전에
신경치료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어금니의 경우에는
음식을 먹을 때 큰 하중을 감당하기에
이후 크라운을 씌워
마무리를 하는 것이 원칙인데,
전치부는 교합력이 세거나
파절의 우려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서
코어만 씌우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앞니에 코어만 세우고 마무리한 경우,
이렇게 치아가 변색되면
심미를 저하시키는 요소가 되므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답니다.
” 그 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
1. 실활치 미백
2. 크라운
크라운은 보철이 들어가기 위해서
치아의 겉표면을 다듬어야 된답니다.
그 반면 미백 과정을 거치면
신경치료 시 형성했던 만큼만
치질을 삭제하고 진료를 하기에
보존적인 측면에서 1안이
훨씬 유리하다 판단되었습니다.
만일 이가 깨져 있거나
파절될 수 있다 판단되면
2안이 더욱 유리합니다.

수택동 치과 사진을 보며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흰색으로 뚜렷하게 관찰되는
내부 충전재를 분홍색 선까지
제거하게 됩니다.
이후 그 안에 미백제를 적용하여
차도를 지켜보게 되는데요.
변색 유발 물질이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점차 자연치 본래의 색상으로 돌아오게 된답니다.
예시 케이스 사진을 보며
그 차도를 함께 확인해 보겠습니다.

수택동 치과 초진 당시
매우 어두운 색상으로
측정되었습니다.
대개 3 정도라 판단되어도
어둡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현재는 A4로 확인됩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내부 충전재를 일정량 삭제하고
그 자리에 약제를 충분히
넣어주게 됩니다.
이후 임시 재료로 밀봉하고
환자가 걸어가는 하는 동안
미백제가 지속해서 작용한다 하여
Walking bleaching Technique라는
명칭으로도 불립니다.
재밌죠?
그러나 하얘지는 정도나 속도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를 예측하기 어렵고
만일 화이트닝에 성공하더라도
이후 또다시 변색될 수 있어
추후 재진료가 필요한 케이스도 있습니다.

수택동 치과 에서 준비한 케이스는
4회가량을 거쳐 본연의 색을 찾았습니다.

약제를 적용한 직후에는
활성 산소가 내부에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추후 뒤늦게 화이트닝
반응을 보이기도 한답니다.
2주가량 추가 관찰을 하면
약제의 효능이 모두 발휘된답니다.

실활치 미백을 마무리해도 된다 판단되어
약제를 교환하는 과정을 멈추고
다시 코어를 세워 준 후
치료가 마무리되었습니다.

예전에 받으셨던 신경치료 과정에서
형성했던 정도로 치아를 삭제하면
미백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존적인 측면에서
매우 우수합니다.
대개 1주에 한번 내원하셔서
색상이 변화된 정도를 평가하고
약제를 교체하게 됩니다.
환자마다 검게 변한 정도가 다르고
가진 구내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적용 횟수나 기간은 상이합니다.
보통 2~6회가량 진행하며
횟수와 상관없이
비용은 동일합니다.
이후 또다시 검게 변할 수 있으므로
종결되었다고 끝이 아니라
꾸준히 예후를 관찰하고
주기적으로 평가해 줘야 됩니다.
수택동 치과 에서 준비한
치의학 정보는 여기까지입니다.
유익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치료 기간 : 2024.12.2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