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역 치과 에서 알려드립니다. 이 시림이 고민된다면, 치경부 마모증 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병민입니다.
화장실 안에 나란히 걸려있는 칫솔,
내 것만 유난히 솔이 벌어져 있고
빨리 닳는 느낌이 든다면
양치질 방법이
잘못되었을 수 있습니다.
치아를 좌우로
박박 문질러 닦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계속해서 잘못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치아의 목부분인 [치경부]가
점차 닳아 마모됩니다.

사진처럼 단단한 겉껍질인
법랑질이 탈락하면서
속질인 노란 상아질이
드러나게 되면
이 시림 같은 예민한
증상이 유발됩니다.
이를 방치하게 된다면
내부에 있는 신경에도 영향을 주어
보존 치료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4가지 경우를
사진 자료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 1. 첫 번째

작은 어금니 치경부가
패여 나가면서
속질이 드러나 있습니다.
이를 치경부 마모증이라
일컫습니다.

그 후방에 있는 큰 어금니는
치경부 우식으로 이어져
검게 관찰됩니다.
겉껍질은 단단하지만
속질은 무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마모되어 드러나게 되면
쉽게 충치에 이환되는 것은 물론
더 빠르게 닳게 됩니다.
이렇게 썩어들어간 곳은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면밀히 체크해 주어야 되는데요.
만일 초기로 진단되었다면
간단하게 제거한 후
재료로 수복해주면 됩니다.

닳은 부분 역시 재료를 사용하여
수복을 진행하게 되는데요.
작은 어금니는 크게 웃을 때
보이는 곳이므로
심미까지 회복을 원한다면
레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일 경제적인 재료를 찾는다면
보험이 적용되는 GI,
즉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충치를 모두 제거하고
레진으로 수복을 마무리 지은
모습입니다.
| 2. 두 번째

사진을 보시면
여러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 앞니 사이 인접면
우식증이 관찰됩니다.
이 사이 충치라고 불리는데
그 범위가 넓지 않아
레진을 사용하여 치료
가능하다 판단됩니다.
b. 일전에 재료로 때워놓은
양쪽 작은 어금니는
변색되어 검게 보여
심미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변색된 곳만 제거하고
말끔하게 다듬은 후
다시 재수복을 진행
해볼 수 있습니다.
c. 송곳니의 목 부분이
살짝 패여 나가면서
속질이 드러났습니다.
시린 증상, 예민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탈락한 치질을
복원해 줄 수 있는
진료과정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여러 문제가
개선된 모습입니다.
| 3. 세 번째

해당 사진을 보면,
아래 앞니 쪽 병소가 확인됩니다.

치은 질환으로 인하여
잇몸이 내려앉으면서
치아 목 부분이 드러난겁니다.
일전에 씌워놓은 레진이
깨져 갈라지면서
그 사이로 충치가 진행된
모습도 확인됩니다.

제거 후 다시 재수복을 통해
개선할 수 있으며,
잇몸이 내려앉음에 따라
드러난 부분 역시 때워
민감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앞니는 심미와 직결되므로
본연의 색을 유사하게 표현할 수 있는
[레진]을 사용하면 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 4. 네 번째
외형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한데요.

위 사진처럼
소구치 일부가 패여나갔을 경우
세밀한 영역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둥근 외형을 잘 살려주어야 합니다.
색조 대비를 통해 쉐이드를 택하고
레진을 조금씩 덜어내 쌓아 올리는데요.
이때 기구를 활용하여 기존 외형과
유사하게 잘 어울리도록
형성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단순히 치료를 받았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
계속해서 잘못된 방법으로
양치를 하면,
다른 곳이 닳게 되거나
때워놓은 재료의 탈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습관을 개선하는
과정도 함께 해야 됩니다.
치경부는 수복물이 잘 떨어지는 곳으로
꾸준한 관찰이 필요하며,
만일 탈락하게 되었다면
다시 재료로 때우는 과정을
진행해 주셔야 됩니다.
잇몸 쪽에서 아래로 쓸어내리듯이
칫솔질을 하는 것이 포인트인데요.
해당 영상을 보시고
한 번쯤 따라 하시면,
잇몸 건강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오늘은 이 시림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과
관련된 치의학 정보를 전달해 드렸습니다.
관련 내용을 찾는 분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강병민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치료 기간 : 2024.02.12 / 2024. 12. 05 / 2025.01.20 / 2025.03.06
